CIVILPRO DREAM9 건설장비 시공능력(굴삭기) # 건설장비 시공능력 건서공사 설계시 단가의 산출에서 기계화 시공을 할 경우 우리는 각 기계별 시공능력을 산출해야 한다. 여기서 시공 능력이라 함은 장비가 1시간에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의미한다. 오늘은 장비의(굴삭기) 시공능력 산출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. # 굴삭기 시공능력 시공능력 산정 기본식 굴삭기 시공능력 산정식 1. 버킷계수(K) 현 장 조 건 K 용이하게 굴착할 수 있는 연한 토질로서 버킷에 산적으로 가득찰 때가 많은 조건이 좋은 모래, 보통토인 경우 1.10 위의 토질보다 약간 단단한 토질로서 버킷에 거의 가득 채울 수 있는 모래, 보통토 및 조건이 좋은 점토인 경우 0.90 버킷에 가득 채우기가 어렵거나 가벼운 발파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 단단한 점토질, 점토, 역토질인 경우 0.70 버.. 2024. 1. 16. 기계경비(굴삭기_무한궤도) # 기계경비 건서공사 설계시 적정 공사비 산정과 기계화 시공의 합리적인 발전을 위해 당해 건설공사의 제반사항을 감안하여 대규모공사에는 대형건설기계, 중규모공사에는 중형건설기계, 소규모공사에는 소형건설기계를 적용한다. 건설기계는 건설공사에 반드시 필요한 품목 중 하나이다. 오늘은 그 건설기계 중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굴삭기(무한궤도)에 대한 기계경비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. # 기계경비 용어와 정의 ① 상각비 : 기계의 사용에 따르는 가치의 감가액을 말한다. ② 정비비 : 기계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고장 또는 성능 저하부분의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분해수리 등 정비와 기계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정기 또는 수시 정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말한다. ③ 정비비율 : 기계의 경제적 내용시간 동안에 소요되는 정비비.. 2024. 1. 13. 현장사무소, 가설사무소 # 현장사무실 도로 및 하천, 철도, 항만 등 공사를 하는 현장은 전국에 정말 많다. 근무하는 사무실과 현장이 가깝다면 사무실을 오가며 관리를 할 수 있겠지만, 그렇지 않은 곳은 적지 않다. 그럴 때 현장 사무실을 현장에 개설하고 업무를 본다. 현장 관리라는 게 정말 많은 서류와의 싸움이기도 하다. 공사관리, 안전관리, 품질관리 등 을 비롯해 문서관리까지... 그래서 오늘은 현장사무소 즉 가설사무소에 대해 알아볼 까 한다. # 가설시설물의 손율(토목품셈 2-2-3) 사용기간 및 횟수에 따라 감가상각되는 가설시설물의 재료비는 거래형태 등을 고려하여 손료 또는 임대비로 산정한다. - 손료 : 표준품셈 제시 손율과 자재수량을 참고하여 적용한다. - 임대비 : 현장거래 임대료 또는 전문가격조사기관이 공표한 가격.. 2024. 1. 11. 운반, 철근소운반 # 현장 자재운반 현장에서 소운반은 현장 여건을 고려할 때 많이 발생하는 부분이라 생각한다. 현장 내 소운반은 주로 자재가 있을 수 있다. 자재 사용 위치까지 차량 진입이 가능하다면 좋겠지만, 진입이 불가할 때가 더 많은 것 같다. 철근을 비롯해 많은 자재들이 이에 해당할 것으로 보인다. 그럼 여기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철근 소운반에 대해 알아볼까 한다. # 운반(토목품셈 1-2-7) ① 소운반의 운반거리 가. 품에서 자재의 소운반은 포함이며, 품에서 포함된 것으로 규정된 소운반 거리는 20m 이내의 거리를 의미한다. 나. 경사면의 소운반 거리는 직고 1m를 수형거리 6m의 비율로 본다. 다. 현장 내 운반거리가 소운반 범위를 초과하거나, 별도의 2차 운반이 발생될 경우 별도 계상한다. ② 인력운반 기본.. 2024. 1. 10. 이전 1 2 3 다음